-
"On the Philosophy of Hats" 모자 철학 - 8나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2025. 1. 7. 06:41728x90반응형SMALL
드디어 오늘부로 "On the Philosophy of Hats" 모자 철학이야기가 마무리 됩니다. 재미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무튼 영어공부는 말을 잘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글을 잘 읽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꾸준히 공부해 봅시다.
In short, we all go through life wearing spectacles coloured by our own tastes, our own calling, and our own prejudices, measuring our neighbours by our own tape-measure, summing them up according to our own private arithmetic.요약컨대, 우리는 우리 자신의 취향, 우리 자신의 직업, 우리 자신의 편견으로 채색된 안경을 쓴 채 인생을 살아간다. 그리고 우리 자신의 줄자를 가지고 이웃을 재단하면서, 우리의 사적인 산수에 따라서 그들(이웃사람들)을 요약하면서 (인생을 살아간다).
★calling: 직업 ★tape-measure: 줄자, Arithmetic 산수,산술, prejudice 편견, summing-up 요약 spectacle 구경거리
We see subjectively, not objectively; what we are capable of seeing, not what there is to be seen. It is not wonderful that we make so many bad guesses at that prismatic thing, the truth.
우리는 객관적으로가 아니라 주관적으로 (세상을) 본다. 봐야만 하는 것을 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을 본다. 우리가 프리즘 같은 다채로운 색깔, 즉 진실에 대해서 그렇게 많은 잘못된 추측을 하는 것이 놀랄 일 이 아니다
★what we are capable of seeing, not what there is to be seen: 있는 그 대로가 아니라 우리가 볼 수 있는 것 만을. 앞의 see의 목적어. ★prismatic: 프리즘으로 분해한, 다채로운
Be to 용법
1.예정 : ‘~ 할 예정이다’ 라고 해석되고, 같은 의미인 Be going to로 바꿀 수 있다.- I am to eat out tomorrow 나는 내일 외식을 할 예정이야.
2. 의무 : 동일하게 '의무'를 나타내는 Have to로 바꿔서 쓸 수 있다.
그래서 뜻도 ‘~해야만 한다’ 라고 해석
People are to wear masks. 사람들은 마스크를 써야만 해.
3. 의도: 뜻이 ‘~하려면’ 이라고 해석되기 때문에 want to로 대체할 수 있다고 이해하는 것이 쉽다.
의도의 의미로 쓰인 Be to 용법은 If절과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다.
If you are to travel abroad, book your plane ticket first. 너 해외여행 가려면 비행기표부터 예약해.
4. 가능 : 가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be able to’와 같다고 볼 수 있고 이는 ‘~할 수 있다’라고 해석.
No one was to be seen on the street. 거리에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
5. 운명 :운명을 나타내기에 ‘be destined to’와 같다고 볼 수 있죠. 그래서 뜻도 ‘~할 운명이다’라고 해석.
They were to marry. 그들은 결혼할 운명이었어.
반응형'나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fternoon of an American Boy”-2 (51) 2025.01.09 “Afternoon of an American Boy”- 1 (43) 2025.01.08 "On the Philosophy of Hats" 모자 철학 - 7 (55) 2025.01.06 "On the Philosophy of Hats" 모자 철학 - 6 (50) 2025.01.05 "On the Philosophy of Hats" 모자 철학 - 6 (48) 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