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The Glass Menagerie(유리 동물원) Scene 1-4
    나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2024. 12. 22. 14:37
    728x90
    반응형
    SMALL

    이제부터는 연극이 시작되면 Tom의 독백이 이어집니다. 혼자서 차분하게 이 연극에 대해서 설명을 하는 장면입니다.  유튜브에서 이 장면을 링크해서 올려볼까 합니다.

    TOM: Yes, I have tricks in my pocket, I have things up my sleeve. But I am the opposite of a stage magician.
    : , 저도 마술이 있고 마술에 대한 비법이 있어요. 하지만 저는 무대 위의 마술사와는 정반대입니다
    * up one’s sleeve 몰래 준비하여, 숨겨둔
    He gives you illusion that has the appearance of truth. I give you truth in the pleasant disguise of illusion.To begin with, I turn bark time.
    그는 당신에게 진실의 모습을 한 환상을 제공합니다. 나는 당신에게 환상의 유쾌한 변장으로 진실을 제공합니다. 우선, 나는 짖는 시간을 돌립니다.
    I reverse it to that quaint period, the thirties, when the huge middle class of America was matriculating in a school for the blind.
    미국의 거대한 중산층이 맹학교에 입학하던 기묘한 시대, 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 봅니다.
    *the thirties: Tom 1929년 시작된 미국의 대공황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
    Their eyes had failed them or they had failed their eyes, and so they were having their fingers pressed forcibly down on the fiery Braille alphabet of a dissolving economy.
    그들은 눈이 나빠졌거나 눈이 나빠져서 경제가 해체되는 불타는 점자 알파벳을 억지로 손가락으로 누르고 있었습니다.
    ** fail : 기대를 어기다, 저버리다
    In Spain there was revolution. Here there was only shouting and confusion.
    스페인에는 혁명이 있었습니다. 여기에는 소리와 혼란만 있었습니다.
    In Spain there was Guernica. Here there were disturbances of labour, sometimes pretty violent, in otherwise peaceful cities such as Chicago, Cleveland, Saint Louis. . . .
    스페인에는 게르니카가 있었습니다. 시카고, 클리블랜드, 세인트루이스와 같은 평화로운 도시에서 때로는 매우 폭력적인 노동 소요가 발생했습니다. . .
    * in otherwise peaceful cities 그렇지 않았다면 평화로운 도시였을
    This is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play. 이것이 극의 사회적 배경입니다.
    [MUSIC]
    The play is memory. 연극은 기억입니다.
    Being a memory play, it is dimly lighted, it is sentimental, it is not realistic. 추억의 연극이기 때문에 조명이 희미하고 감상적이며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In memory everything seems to happen to music. That explains the fiddle in the wings. 기억 속에서는 모든 것이 음악에 일어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바이올린은 날개를 달고 있는 것입니다
    * That explains ~한 이유가 바로 그것입니다.  *wings (무대의) 양 옆
    I am the narrator of the play, and also a character in it. The other characters are my mother Amanda, my sister Laura and a gentleman caller who appears in the final scenes. 저는 극의 내레이터이자 극 중 등장인물이기도 합니다. 다른 등장인물은 어머니 아만다, 여동생 로라, 그리고 마지막 장면에 등장하는 신사 방문객입니다.
    He is the most realistic character in the play, being an emissary from a world of reality that we were somehow set apart from. 그는 극 중 가장 현실적인 캐릭터로, 우리와 왠지 모르게 동떨어진 현실 세계에서 온 사절단입니다.
    * emissary = messenger 사자(使者), * a world of reality that we were somehow set apart from 우리가 삶의 목적으로 삼는 어떤 것
    https://youtu.be/nDPMBDiwL0M?si=1X_216ys68Sg8qL_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