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ERP도입에 대하여
    일을 새롭게 직장을 새롭게 2019. 7. 16. 07:20
    728x90
    반응형
    SMALL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우리 회사는 2012년도에 ERP도입을 시도했다. MES또한 시도를 했었다. 그러나 결과는 처참했다. 어느 것도 제대로 되질 못했다. 그러던 2017년 1월에 내가 입사를 하게 된다. 고객들은 전산화가 안되는 것에 대해서 심할 정도로 압박을 했다. 하는 수없이 알바를 써서 MES 를 개발할수 밖에 없었다. 2년여 시간동안 많은 부분을 개발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것도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그러나 문제가 있었다. MES가지고는 더 이상 발전을 할수가 없었다. 새로운 무언가 필요했다. 그 새로움이 바로 ERP였다. ERP를 도입하게 된 목적을 적어보고자 한다.

    [ ERP를 도입하려는 이유]

    1. 재료비 매입비율이 4%이상 차이가 나고 있다. 엄청난 금액이다. 매출기준으로 4%차이는 현재로서는 보이지 않는 로스이다. 개선전문가로서 확실히 아는 것은 어디에서 낭비가 발생하는지 왜 발생하는지를 알면 개선 시킬수 있다. 이러한 낭비를 찾는 도구가 ERP라면 도입해야 하는 것이 맞는 것이다.

    2. 회사의 여러 시스템을 통합하고자 한다.

    지금 회사에서는 회계시스템은 더존의 시스템을 사용하고 예전에 도입해서 실패한 ERP를 가지고 자재 입고만을 잡는데 쓰고있다. 거기에 내가 와서 개발한 MES를 사용한다. 연구소장이 새로 오면서 PMS를 넣겠다고 고집을 부렸다. 내가 적극 만류함에도 말이다. 이에 갈등이 생기자 결국 대표께서 나보고 승인을 해주라고 해서 도입을 했다. 하지만 막상 넣고 보니 전혀 쓸모가 없는 물건을 도입이 된 것이다. 최초 시연할때 보여준 제품이 아니라 다른 제품인 것이다. (내가 보기엔) 그러나 다른 말은 하지 않았다. 어차피 이번 ERP가 도입되면 이또한 폐기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하나 사용하는 것은 그룹웨어이다. 그룹웨어또한 다른 시스템으로 운영되어지고 있다. 그러니 회사에 이런 저런 시스템이 널부러저 있는 것이다. 이런 시스템들의 통합이 필요했다.

    3. 퇴사자 발생시 업무 공백이 크다. 퇴사자들에게 한달간의 시간을 두고 퇴사하라고 한다. 하지만 어떤 경우는 2~3일의 여유를 두고 퇴사하겠다고 한다. 정말로 예의가 없는 경우이다. 하기사 인수인계를 한다하더라도 직원이 바뀔 경우 업무 공백이 너무 크다. 처음 이회사에 왔을때 직원들은 수시로 나에게 사직서를 들고 왔다. 사정을 해서 다시 근무하도록 하게하고 그만 두는 경우는 주변 직원들이 고생을 했다. 또 다른 경우는 시스템이 잘 되어있는 회사에서 온 직원은 이 회사에서 일을 하는 것이 힘들다고 한다. 아무런 정보없이 일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공백을 없애려면 결국 ERP 시스템이 필요하다.

    4. 선진 기업의 시스템을 도입하는 기회가 된다. 도입하려는 ERP는 나름대로 선진 기업에서 사용하는 증명된 시스템이다. 그러한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은 선진기업의 경영 기법을 한번에 따라 잡는 효과가 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몇 단계 뛰어오르는 성과를 낼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어떤 과정으로 도입하려고 하는가]

    이번 ERP는 도입은 즉시 하지만 3년에 걸쳐서 대금을 지불하는 형식으로 하려고 한다. 왜 3년간의 계약을 거치려고 하는가 하면 우선 KAP에서 3차년에 걸쳐서 스마트 공장 지원을 한다. 그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려면 3년을 거쳐야 하는 것이다. 물론 회사에서 50%의 비용을 부담해 가면서 말이다.

    이렇게 하면 장점이 또 있다. 대부분의 시스템 공급사들이 그냥 시간이 지나면 대충 마무리하고 떠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3년의 시간 동안 부족한 부분들을 채워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에는 애자일 기법이 있다. 결국 애자일 기법이란 것은 시간을 두고 계속 개선해 가는 방법이다.

    또 하나는 공급사를 선정하는 방법이다. 여러 회사와 치열한 경쟁을 유도 했다. 경쟁을 통해서 좋은 시스템을 적절한 가격으로 도입하는 기회를 만들수 있다.

    대부분 모든 공급사가 자신의 상품을 만병통치약 처럼 생각한다. 그러나 막상 계약이 이루어지고 나면 그 뒤부터는 갑과 을이 바뀐다. 언제 그랬냐는 듯이 태도가 돌변해서 아주 성의 없이 일하는 경우가 많다.

     

    이 이후에 다룰 주제로는

    1. ERP 도입을 위해서 바람직한 조직구조는?

    2. BOM 구조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3. 왜 지난번 ERP,MES 프로젝트에서 정부 지원사업이 실패했는지

    이런 주제로 글을 쓰고자 한다.

     

    아무튼 이번에 도입하는 ERP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길 소망한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