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 Frontier and Expansion나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2024. 11. 25. 06:36728x90반응형SMALL
미국이란 나라도 편안하게 세워지지 않았다. 이들도 엄청난 도전과 시련을 겪은 것은 틀림없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라는 말이 정답이다. 프런티어도 역시 그러한 도전과제중 하나였다. 오늘은 프런티어에 대한 내용을 공부해 보도록 하자
In the United States, the frontier was the term [applied to the zone of unsettled land outside the region of existing settlements of Europeans]. As pioneers moved into the frontier zone, they were changed significantly by the encounter. That is {what Frederick Jackson Turner called “the significance of the frontier.”} → 미국에서 ‘프런티어’는 기존 유럽인들의 정착 지역 바깥의 미 정착지대에 적용된 용어였다. 개척자들이 프런티어 지대로 이주해 들어가면서 그들은 그 조우에 의해 상당히 변화되었다. 그 점은 프레더릭 잭슨 터너가 “프런티어의 중요성” 이라고 부른 것이다.
This (unlimited free land) offered the psychological sense of unlimited opportunity, which had many consequences, [such as optimism, future orientation, removal of restraints due to land scarcity, and wastefulness of natural resources] → 이것(무제한 자유의 토지)가 무한한 기회라는 심리적인 의식을 제공했고 이런 상황이 낙관 주위, 미래지향성, 토지 부족에 따른 제약의 탈피, 자연 자원의 낭비등과 같은 결과를 낳았다.
Throughout American history, the expansion of settlement was largely from the east to the west, and thus the frontier is often identified with “the west.” On the Pacific Coast, settlement moved eastward. In New England, it moved north → 미국 역사를 통해 정착지역의 팽창은 주로 동부에서 서부로 이루어졌기에 프런티어는 종종 “서부”로 알려졌다. 태평양 연안에서는 동쪽으로, 뉴 잉글랜드 에서는 북쪽으로 정착이 이루어졌다.
‘Frontier’ was borrowed into English from French in the 15th century with the meaning of “borderland,” the region of a country {that fronts on another country} → ‘프런티어’는 다른 나라에 마주하고 있는 어떤 한 나라의 지역, 즉 “국경지대”의 의미와 함께 15세기 프랑스에서 영어로 차용되었다.
Frederick Jackson Turner
“The Significance of the Frontier in American History”
Up to our own day American history has largely been the history of the colonization of the Great West. That is, the development of America can be explained by [the massive existence of free land, its continuous recession, and the advance of American settlement westward]. → 우리자신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미국 역사는 주로 위대한 서부를 식민지화하는 역사였다. 즉, 미국의 발전은 거대 자유 토지의 존재, 그것의 계속적인 후퇴, 미국 정착지의 서쪽으로의 진전으로 설명된다.
the English colonies generally pursued a more systematic policy of widespread settlement of the New World [for cultivation and exploitation of the land]. → 영국의 식민지들은 토지의 경작과 개발을 위해 신세계에 광범위하게 정착하는 더 체계적인 정책을 추구했다.
Whether the Kansas frontier would become “slave” or “free” was a spark of the American Civil War. → 캔자스 프런티어가 “노예 주” 혹은 “자유 주’가 되느냐 하는 문제가 미국 남북전쟁의 시발점이 되었다.
The American frontier was generally the most Western edge of settlement and typically more democratic and free-spirited in nature than the East [because of its lack of social and political institutions]. → 미국의 프런티어는 대체로 정착지의 서부 최전방으로서 사회적, 정치적 제도가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에 동부보다 성격상 더 민주적이고 자유로운 사고방식을 지녔다.
Through treaties with foreign nations and native peoples, political compromise, technological innovation, military conquest, establishment of law and order, and the great migrations of foreigners, the United States expanded from coast to coast, fulfilling its belief in Manifest Destiny. → 외국국가들과 원주민들과의 조약들, 정치적 타협, 기술 혁신, 군사적 정복, 법과 질서의 확립, 외국인들의 대 이주 등을 통해서 미국은 해안에서 해안으로 팽창하면서 ‘명백한 운명’에 대한 신념을 실현하였다.
While some have linked the term to promoting economic growth, expansionism more commonly refers to a nation [expanding its territorial base (or economic influence) usually by means of military aggression]. → 어떤 이들은 이 용어를 경제적인 성장의 촉진과 연관 짓기는 하지만, 더 흔히 팽창주의는 대게 군사적인 침략이라는 수단을 통해 한 국가가 영토상의 기반(경제적인 영향력)을 팽창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The Homestead Act
이것은 1862년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일련의 법으로 이 법에 따라 ’정부 공여 농지’ 라고 불린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 낮은 가격이나 무상으로 이주 신청자들에게 제공되었다.
※ The Northwest Ordinance
1787년 미국 각 주로부터 연합정부로 이양된 북서부지역의 정치방식을 정한 토지법. 인구증가에 맞추기 위한 토지의 재분할을 규정한 조례이다. 이로 인해 북서부 준주가 성립되었다.
반응형'나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The Great Depression in Three Keys (97) 2024.11.27 8. Immigration and Acculturation (104) 2024.11.26 6. Early Religion in America (94) 2024.11.24 5. American Mind and Exceptionalism (93) 2024.11.23 4. American Manners (82) 2024.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