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 Immigration and Acculturation나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2024. 11. 26. 06:35728x90반응형SMALL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미국의 사회와 문화라는 과목 (신현욱교수님)의 내용입니다. 공부하면 내용을 요약해서 올려봅니다. 물론 해석해서 올립니다. 참고바랍니다.
In the two centuries after the founding of the American Republic, a population {which was already multiethnic} became even more so. Territorial expansion [through conquest, purchase, and annexation] added to the original diversity, but the primary source flowed from a massive infusion of immigrants from almost everywhere in the world. → 미 공화국이 건설된 이후 2세기 동안에, 이미 다민족으로 구성된 인구가 기상천외할 정도로 더 다민족이 되었다. 정벌, 매입, 그리고 병합을 통한 영토팽창은 본래의 다양성을 훨씬 두드러지게 만들었지만, 그 중요한 원천은 거의 세계 모든 곳으로부터의 이민자의 대량의 유입의 결과로 생겨났다.
what it means to be an American in a nation [where many peoples from diverse countries have immigrated at different times] → 다양한 나라 출신의 많은 종족들이 서로 다른 시기에 이주해 온 이 나라에서 미국인이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지이다.
J. Hector St. John de Crèvecoeur stated: “What then is the American, this new man?” → 제이 헥토르 성 존 드 크뢰베쾨르는 서술하였다. “그렇다면 이 새로운 인간인, 미국인은 무엇인가?
What therefore did the Americans have in common other than the fact {that they came from different ancestors}? → 그렇다면 그들이 서로 다른 조상에서 태어났다는 사실 이외에 미국인들은 무엇을 공통점으로 가지고 있나?
The question has remained important throughout American history [mostly because of the way it add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ethnic diversity and national unity]. This question has also lasted because the more immigration continued to change the ethnic and religious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the more Americans felt they had to articulate who they were as a nation. → 그 문제는 미국 역사 전반에 걸쳐 중요하게 남아있는데, 일반적으로 그 문제가 다양한 종족과 국가적 통일성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방식 때문이다. 그 문제는 또한 지속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민이 인구의 인종적이나 종교적 성분을 더욱 더 변화시키면 시킬수록, 미국인들은 하나의 국민으로서 그들은 누구인가를 더더욱 느끼게 되었다.
Over half of all European immigrants to Colonial America dur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arrived as indentured servants. Immigrants in the mid nineteenth century mostly arrived from northern Europ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mainly from Southern and Eastern Europe; post-1965 mostly from Latin America and Asia. → 17-8세기 동안, 식민 미국으로 온 전 유럽 이민자들의 절반 이상이 도제계약 노동자로서 도착했다. 19세기 중엽에 온 이민자들은 대부분 북유럽에서 왔다. 20세기 초에는 주로 남동부 유럽에서 왔다. 그리고 1965년 이후엔 라틴아메리카나 아시아 출신들이다.
Immigration patterns [of the 1930s] were dominated by the Great Depression, a devastating time {which lasted over ten years}. [In the final prosperous year, 1929], there were 279,678 immigrants recorded, but {in 1933], only 23,068 came to the U.S. → 1930년대의 이민 패턴은 10년 이상이나 지속된 절망의 시대인 대공황에 의하여 지배 되었다. 1929년 마지막 번성의 해에, 279,678명의 기록된 이민자들이 있었지만, 1933년엔, 단지 23,068명이 미국에 왔다.
The Immigration and Nationality Act Amendments of 1965, also known as the Hart-Celler Act, abolished the system of national-origin quotas. The immigration policies were equalized, or made fairer. The act resulted in new immigration from non-European nations, which changed the ethnic composition of the United States. {While European immigrants were nearly 60 percent of the total foreign population in 1970}, they were only 15 percent in 2000. → 1965년 이민국적법 개정(안)은 Hart-Celler 법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국적-기원 할당량제도를 폐지했다. 이민법이 평등화 되었고 더 공평해졌다. 그 법은 비 유럽 국가들로부터 새로운 이민의 결과를 초래했고 그래서 미국의 인종구성을 변화시켰다. 1970년에 총 외국인의 60%가 거의 유럽 이민자들이었던 반면, 2000년에는 단지 15%였다
Whatever the “push” {that made them move}, the “pull” {that attracted them to America} was the promise of a fresh start. → 그들을 이동하게 했던 “배출요인”이 무엇이든지 간에, 그들을 미국으로 끌어들인 “흡인요인”은 새로운 시작의 약속이었다. America’s vast area of land was underpopulated; immigrants would help to fill it. America’s boundless resources were unexploited; [immigrant manpower and skills and capital] would contribute to developing them. → 미국의 방대한 토지는 인구밀도가 적었다. 그래서 이주민들이 그곳을 채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미국의 무한한 자원은 개발이 되지 않았다. 그러니 이주민들의 인력과 기술과 자본이 그것들을 개발하는데 기여를 할 것이었다.
The American War of Independence was the first successful anticolonial war in modern history. Yet the victors established a nation-state [without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nationhood at that time]. → 미국의 독립전쟁은 근대역사에 있어서 최초로 성공적인 반 식민전쟁이었다. 하지만, 독립전쟁에서 이긴 미국인들은 당시에 독립 국가를 구성하기 위한 필요조건 없이 국가를 세웠다.
※ acculturation
한 집단이 다른 문화와 지속적으로 직접적 접촉을 가질 때 일어나는 문화적 특징들과 상호교환 과정을 가리킨다.
※ alien
미국의 시민권자 혹은 미국 국적이 아닌 사람(any person not a citizen or national of the United States)을 가리킨다.
반응형'나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American Dream (80) 2024.11.28 9. The Great Depression in Three Keys (97) 2024.11.27 7. Frontier and Expansion (110) 2024.11.25 6. Early Religion in America (94) 2024.11.24 5. American Mind and Exceptionalism (93) 2024.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