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 Entertainment and Mass Media
    나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2024. 11. 21. 06:53
    728x90
    반응형
    SMALL

    한국방송통신대 학생으로 시험 준비를 하면서 관련된 글을 번역도 하면서 글을 올려봅니다. 미국에 대해서 아는 것이 많은 것 같지만 공부를 해 보니 모르는 것이 훨씬 많은 것 같았습니다. 이글도 읽으면서 보니 이해가 되어지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미국이란 나라가 그냥 만들어지진 않았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튼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특히 영어를 공부하시는 분에게는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1. The Puritan Legacy and Sports

    Early Puritans led lives {that emphasized prayer and work}. Sports and recreational activity, therefore, were regarded as “idle” activities, and thus, the colonies’ early leaders shunned such activities. Moreover, idleness was regarded as a cardinal sin. Thus, early Puritan leaders were intent on enforcing a strict discipline of hard work. There were several reasons for this. First, work was regarded as a moral value in itself; and second, diligent labor was necessary to survive in the harsh conditions of the frontier. → 초기 청교도들은 기도와 일을 강조하는 삶을 이끌어왔다. 그러므로 스포츠와 오락 활동은 게으른 행동으로 간주되었고, 따라서 식민지의 초기 지도자들은 이런 행동을 회피했다. 더구나 빈둥거림은 중대한 죄악으로 여겨졌다. 그래서 초기 청교도 지도자들은 엄격한 근면의 규율을 강화하는데 열중하였다. 여기엔 몇 가지 이유가 있었다. 첫째, 노동은 그 자체로 도덕적 가치로 간주되고, 둘째, 근면은 프런티어의 거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요했다.

    Today’s fascination with the moral significance of winning, along with the general neglect of the play element in sports, may be a reflection of this old Puritan outlook. → 스포츠에서의 놀이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무시와 함께, 오늘날 승리에 대한 도덕적 중요성에 대한 매료는 낡은 청교도 관점(스포츠는 귀족적 놀이요소라는 관점)을 반영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3. Media and Press

    Nowadays the term “media” is most commonly used to refer to the institutions of electronic broadcasting, printed magazines, and newspapers {which address mass audiences}. → 오늘날 “미디어”라는 용어는 (많은 대중들에게 소식을 전하는) 전자 방송 기관, 인쇄된 잡지, 신문들을 언급하기 위해 아주 흔히 사용된다.

    The eagerness for news is an organic part to American culture. “What’s new?” is a common American greeting, exemplifying an avidity for fresh impressions {which makes the American the largest consumer of newsprint in the world}. → 뉴스에 대한 열망은 미국문화에 하나의 본질적인 부분이다. "뭐 새로운 거 없나?“는 평범한 미국 인사이며, 미국인들을 세상에서 가장 큰 신문 소비자 집단으로 만들어주는, 갓 나온 인쇄물에 대한 열망을 보여준다.

    On waking, you turn on the radio news broadcast or the TV “morning show,” or run through the newspaper at breakfast, or scan the sports or market news {while crowded in the bus or subway or commuter’s train}. → 눈을 뜨자마자, 라디오 뉴스방송이나 TV “모닝 쇼”을 틀거나, 아침식사를 하면서 신문을 훑어 보거나, 붐비는 버스, 지하철 혹은 통근열차에 있는 동안 스포츠나 시장 소식을 훑어본다.

    While you have been asleep, you have missed out on reality and must catch up with it. → 당신이 잠자고 있는 동안에, 현실에 관한 기회를 놓치게 되어서, 그것을 따라 잡아야만 한다.

    It buzzes briefly, dies unmourned, is replaced by its successor, and the next day it is sunk in oblivion. As Waldo Frank stated, for the American “news is a toy.” Every toy has a glittering fascination for the child ─ to be forgotten when the next toy appears. →그것은 짧은 기간 동안 윙윙 소리 내다가, 누구도 슬퍼하는 이 없이 죽고, 후임자에 의해 교체되어, 다음날이면 망각 속으로 잠겨버린다. W. Frank가 말하시길, 미국인에게 “뉴스는 장난감이다.” 모든 장난감들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반짝이는 매력이 있다. - 그러다가 새로운 장난감이 생기면 잊혀 진다. 뉴스의 정해진 수명에 대하여 비유하였다.

    ※ mediation

    조정, 중재, 중개, 매개, 화해 등을 뜻하는 용어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연구에서는 미디어가 사회뿐만 아니라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담론을 틀 짓는다는 이론을 가리킨다.

    반응형

    '나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American Mind and Exceptionalism  (93) 2024.11.23
    4. American Manners  (82) 2024.11.22
    2. What is an American?  (61) 2024.11.20
    1. US American Values  (80) 2024.11.19
    월요병?  (31) 2024.11.18
Designed by Tistory.